티스토리 뷰

Your IP: ( ) MS Clarity Recoding..

목차



    조선 시대 최고의 품계를 알려드릴게요. 동반 문관과 서반 무관 모두 같은 품계를 사용했어요. 가장 높은 품계는 대광보국숭록대부, 그 아래는 보국숭록대부였답니다. 왕족인 종친의 경우에는 가장 높은 품계가 현록대부, 그 아래는 흥록대부였고, 의빈의 경우에는 수록대부와 성록대부였어요. 1865년 고종 2년에 대전회통이라는 법전을 만들면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를 동반 문관의 품계에 합쳤답니다. 왕의 후궁인 내명부에는 빈이라는 품계가 있었고, 왕족의 부인인 외명부 종친 처에는 부부인과 군부인이 있었어요. 그리고 문무관의 부인에게는 정경부인이라는 품계가 있었답니다.

    정일품(正一品) 관직들을 관련된 기관별로 묶어서 정리해 볼게요.

    주요 행정 기관

    • 의정부(議政府):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 비변사(備邊司): 도제조(都提調)
    • 경리청(經理廳): 도제조(都提調)

    군사 관련 기관

    • 훈련도감(訓鍊都監): 도제조(都提調)
    • 금위영(禁衛營): 도제조(都提調)
    • 어영청(御營廳): 도제조(都提調)
    • 호위청(扈衛廳): 대장(大將)
    • 군기시(軍器寺): 도제조(都提調)
    • 군자감(軍資監): 도제조(都提調)
    • 전함사(典艦司): 도제조(都提調)

    학문 및 문화 관련 기관

    • 홍문관(弘文館): 영사(領事)
    • 예문관(藝文館): 영사(領事)
    • 승문원(承文院): 도제조(都提調)
    • 춘추관(春秋館): 영사(領事), 감사(監事)
    • 경연청(經筵廳): 영사(領事)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사(師), 부(傅)

    종교 및 의례 관련 기관

    • 종친부(宗親府): 군(君), 판종정경(判宗正卿)
    • 의빈부(儀賓府): 위(尉)
    • 돈령부(敦寧府): 영사(領事)
    • 봉상시(奉常寺): 도제조(都提調)
    • 종부시(宗簿寺): 도제조(都提調)
    • 종묘서(宗廟署): 도제조(都提調)
    • 사직서(社稷署): 도제조(都提調)

    기타 기관

    • 제언사(堤堰司): 도제조(都提調)
    • 준천사(濬川司): 도제조(都提調)
    • 주교사(舟橋司): 도제조(都提調)
    • 내의원(內醫院): 도제조(都提調)
    • 사옹원(司饔院): 도제조(都提調)
    • 관상감(觀象監): 영사(領事)
    • 사역원(司譯院): 도제조(都提調)